세브란스, 제중원 140주년 맞아 한국 근대의학 역사 되새긴다

기념 학술 심포지엄 ‘제중원과 한국 기독교의료 140년’ 개최

제중원 등 전국 39개 선교병원의 역사 담아낸 기념도서 출간해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의료기관인 제중원(광혜원)에 뿌리를 둔 연세대학교 의료원(이하 연세의료원)이 개원 140주년을 기념해 제중원과 한국 기독교의료의 역사를 돌아보며 자긍심과 사명감을 더욱 높이는 시간을 마련한다. 


■ 제중원 개원 140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엄 개최

연세의료원은 제중원 개원 140주년을 맞아 기념 학술 심포지엄을 다음달 8일 종합관 331호에서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제중원과 한국 기독교의료 140년’을 주제로, 우리나라 각지에 세워진 선교병원과 선교사의 의료선교 활동을 살펴보며 제중원과 한국 기독교의료 140년의 의미를 되새긴다. 


심포지엄은 총 3부로 진행된다. 민성길 연세대 명예교수가 좌장을 맡은 1부에서는 여인석 교수(연세대 의대 의사학과)의 ‘한국 기독교의료의 기원과 발전’을 주제로 한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각지 선교병원에서의 세브란스 졸업생의 활동(김영수(연세대)) ▲서미감병원의 원주 지역 의료·복음 선교(안성구(원주의료복음선교연구소)) ▲일제강점기 부산나병원의 공간구성과 활용에 대한 연구(배대호(경기대)) 주제발표가 계획됐다. 


김세훈 연세대 교수가 좌장을 담당한 2부에서는 ▲경남지역 호주장로교 의료활동과 배돈기념병원(양명득(영등포산업선교회)) ▲동산기독병원을 통한 대구지역 의료선교 연구(김영호(청도풍각제일교회)) ▲목포지역의 의료선교와 프렌치 병원(유연실(목포대))을 주제로 발표가 이어진다. 


마지막 3부는 박윤재 경희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미국 남장로교 의료선교 정책과 질병치료 공동체 연구(1896-1941):군산 선교병원과 순천 선교병원의 비교 연구(임희모(한일장신대)) ▲일제하 평양연합기독병원과 조선인 개신교 네트워크(주동빈(한국기술교육대)) ▲용정촌 제창병원(정운형(연세대))에 대해 발표가 진행된다. 이후, 서울한영대 남성현 교수의 ‘한국 기독교의료 140년을 돌아보며’를 주제로 한 종합논평을 끝으로 마무리될 예정이다. 


심포지엄은 제중원과 한국 기독교의료의 140년을 돌아보며, 근대의학의 시작을 알린 제중원으로부터 오늘의 세브란스까지의 역사를 재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 제중원 140주년 기념도서 ‘함께한 시간, 인술의 길’ 발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은 제중원 140주년을 맞아 기념도서 ‘함께한 시간, 인술의 길’을 발간한다. 


‘함께한 시간, 인술의 길’은 1885년 설립된 제중원을 비롯해 전국 39개 선교병원의 역사를 사진 중심으로 담아냈다. 미국북장로회, 미국북감리회 등 7개 선교부가 한반도 전역에 설립한 의료기관의 발자취를 추적하며 당시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의료 선교사들이 한국 근대 의료의 기틀을 마련한 과정을 생생한 사진들로 기록했다. 특히, 한센병, 결핵 환자 등 의료 사각지대에 놓인 이들을 위한 선교병원의 활동 등 한국 근대화 과정에서 기독교 의료의 공적 역할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들을 담고 있다. 


한편, 여인석 편찬위원장 등 6명의 편찬위원들이 약 1년 6개월간 지역별로 자료를 수집·정리한 기념도서 ‘함께한 시간, 인술의 길’은 다음달 10일 최종 출간될 예정이다. <끝>